■ 이 주의 논문
- 이효성 (2024). 포털 및 소셜미디어의 뉴스·시사 콘텐츠 이용이 오프라인 정치토론, 정치관여를 매개로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 4·7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 74호, 61-105.
- 이 논문은 포털과 소셜미디어의 뉴스·시사 콘텐츠의 이용이 오프라인상에서의 정치토론, 정치관여,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연구한 논문입니다. 본 논문에서는 포털의 뉴스·시사 콘텐츠 이용이 직접적으로 투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오프라인상의 정치토론을 매개로 하여 투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분석합니다. 또한 포털의 뉴스·시사 콘텐츠 이용이 정치토론을 매개로 정치관여도를 높여, 종국적으로는 투표의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합니다. 반면 소셜미디어의 뉴스·시사 콘텐츠의 이용은 직접적으로 투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상의 정치토론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지 못해, 정치토론 → 정치관여 → 투표의도 사이에 경로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저자는 포털의 뉴스·시사 콘텐츠 이용과 투표 의도에 있어 정치토론과 정치관여라는 변수가 중요하다고 보면서, 뉴스 미디어의 이용과 정치참여간의 영향에 있어 포털과 소셜미디어의 이용 사이에 상이한 효과를 구분하여 봐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본 논문은 포털과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소비가 증가하는 현실에서 특정 온라인 매체가 정치참여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사회과학적으로 객관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라고 판단됩니다. |
<논문 초록> 선거 국면에서 포털 및 소셜미디어의 뉴스・시사 콘텐츠 이용이 오프라인 정치토론, 정치관여를 매개로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포털의 뉴스 및 시사 콘텐츠 이용은 정치토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이어서 정치관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의 뉴스 및 시사 콘텐츠 이용은 정치토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이어서 정치 관여의 증가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 정치관여는 투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치토론은 투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의 뉴스・시사 콘텐츠 이용이 투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치토론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토론이 투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치관여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토론과 정치관여는 행위적 차원의 투표의도에 영향을 미치면서 민주주의 정치참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선거에서 포털을 통한 뉴스나 시사 콘텐츠 이용은 사적 관계에 있는 사람들과의 정치・선거 관련 토론을 유발하거나 관여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투표를 통한 정치참여 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소셜미디어의 뉴스・시사 콘텐츠 이용은 정치토론, 정치관여, 투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선거나 정치적 상황에서 소셜미디어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포털에 비해 미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
☞ 해당 논문은 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