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의 논문과 판례         이 주의 언론법 논문

[11월 2주 논문] 최지향 (2024). 유튜브 뉴스 이용자는 누구인가? 비이용, 간헐적 이용, 정기적 이용, 과이용층의 기성 언론 이용, 정치적 태도 및 시민성 비교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128호, 169-197.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321

■ 이 주의 논문


  • 최지향 (2024)유튜브 뉴스 이용자는 누구인가비이용간헐적 이용정기적 이용과이용층의 기성 언론 이용정치적 태도 및 시민성 비교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통권 128, 169-197.

    이 논문은 유튜브 뉴스 이용자들의 뉴스 소비 성격과 정치적 행태를 사회과학적으로 탐색하는 논문이다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유튜브 뉴스의 과이용자들은 기성 언론에 대해 반감은 있지만 기성 언론에 대한 소비도 높았다또한 유튜브 뉴스 과이용자들은 정치지식은 높지 않지만정치 효능감비방·혐오·차별적 콘텐츠에 대한 노출 그리고 정치적 양극화 정도는 높았다특히 다른 유튜브 뉴스 채널과 비교하여 인플루언서 뉴스채널 이용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비방·혐오·차별적 콘텐츠의 노출이 높고상대 후보보다는 지지자에 대한 정치적 양극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저자는 유튜브 뉴스 이용자에서 보이는 높은 정치적 양극화는 유튜브 뉴스가 공론장으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유튜브 뉴스 이용자의 낮은 정치지식과 높은 정치 효능감은 건강한 민주주의 발전 측면에서 우려될 지점이라고 밝히고 있다본 논문은 유튜브를 통한 뉴스 이용이 증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유튜브 저널리즘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계량적으로 잘 분석하였다고 판단된다.

<논문  초록>

본 연구는 유튜브 뉴스 이용자를 이용 정도별(비이용자간헐적 이용자정기적 이용자과이용자), 이용채널별(기성 언론인플루언서개인 뉴스 채널)로 구분해 기성 언론 이용 정도기성 언론에 대한 태도비시민적 콘텐츠 노출정치 양극화정치 지식정치 효능감 및 정치 참여의 차이를 상세하게 파악했다연구 결과는 유튜브 뉴스 과이용자 그룹의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여 주는데이들은 다른 이용자 그룹보다 기성 언론에 대한 반감이 높으면서도 기성 언론을 통해 뉴스를 많이 소비하는 사람들이었다또한 이들은 비시민적 콘텐츠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으며 정치 양극화 정도도 높았다정치 지식정치 효능감은 다른 이용자 그룹보다 높았고 정치 참여 정도는 정기적 이용자와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이용자와 간헐적 이용자보다 높았다.

이용 유튜브 채널별 차이도 살펴봤는데기성 언론 유튜브 채널을 많이 보는 사람들은 언론 반감 정도가 도리어 낮은 동시에 다양한 기성 언론을 소비하고 있었다반면인플루언서 채널을 통해 뉴스를 많이 보는 이들은 언론 반감 정도가 높았고기성 언론 중에서도 신문만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정치 태도 관련 해서도 기성 언론과 인플루언서 유튜브 이용 정도는 다른 양상을 보여 줬는데인플루언서 채널을 많이 이용하는 이들은 비시민적 콘텐츠에 더 많이 노출되는 한편정치 양극화 정도도 높았다세 종류의 유튜브 채널 이용 모두 정치 효능감과 정적인 관계에 있었으나정치 참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관계에 있는 채널은 인플루언서 채널 뿐이었다.

☞ 해당 논문은 여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