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의 논문과 판례         이 주의 언론법 논문

[7월 5주 논문] 한정현, 유하진, 강민준, 이한진 (2024). 미디어 산업 AI 활용성에 관한 고찰: 저널리즘 분야 적용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문화기술의 융햡>, 10권 3호, 713-722.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615

■ 이 주의 논문

 

  • 한정현, 유하진, 강민준, 이한진 (2024). 미디어 산업 AI 활용성에 관한 고찰: 저널리즘 분야 적용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문화기술의 융햡>, 10권 3호, 713-722.
 
  • AI 저널리즘이 등장하고 있는 현 단계에서, 앞으로의 기술 발전을 전망하고 그것이 불러일으킬 윤리적, 법적 문제를 대비하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논문은 기술과 경영 측면에서 AI 도입의 쟁점을 주로 파악하였지만, 그로부터 충분한 언론학적, 법학적 정책 함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대목이 많습니다. 저자들이 진지하게 문제 제기하는 저널리즘의 본질적 가치를 다시 생각해보게 됩니다.

 

 

<논문  요지>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이 저널리즘 분야에 가져온 혁신과 변화를 조명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주요 윤리적 쟁점들을 검토하여, 저널리즘 분야에서 AI의 활용성을 논의한다. 블룸버그, 가디언, 월스트리트저널(WSJ), 워싱턴포스트(WP) 등 전 세계 언론 및 방송사들은 취재 데이터 분석, 기사문장 생성, 뉴스 제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면에서 AI를 적극 활용 중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외 주요 미디어AI 서비스 유형과 특징을 속도와 규모, 다양성, 가치향상, 정확성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AI 저널리즘의 영향력과 발전 가능성을 평가한다. 나아가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며 AI 도입의 기술적, 경영적, 법적 주요 쟁점들을 파악하고, 알고리즘 편향과 필터버블 등 첨단기술의 발전이 저널리즘 영역에 가져오는 도전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AI와 미디어 산업의 상호지향적인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적 합의를 통한 전향적 AI리터러시 원칙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개선의 필요성을 제언하며, 저널리즘의 본질적 가치와 임무를 조망한다.

 



☞ 해당 논문은 첨부파일 참조
 
 첨부파일
미디어산업AI활용성에관한고찰저널리즘분야적용의주요쟁점을중심으로.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