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의 논문과 판례         이 주의 언론법 판례

[7월 2주 판결] 서울행정법원 23.6.30 선고 2022구합89524, 서울고등법원 24.5.16 선고 2023누52088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244

■ 이 주의  판례

 

  • 서울행정법원 23.6.30 선고 2022구합89524, 서울고등법원 24.5.16 선고 2023누52088
 
  •  본 판례는 인공지능이 권리 주체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담겨 있어, 위 논문과 함께 추천합니다. 원고는 인공지능이 발명자로 신청한 특허 출원을 인정해달라고 특허청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서울행정법원 행정 6부는, 특허법 문헌 체계상 발명자는 ‘자연인’만을 의미하고, AI는 자연인이 아닌 물건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아 독자적 권리능력을 인정할 수 없으며, 해당 특허가 인간의 개입 없이 AI가 온전히 자신의 힘으로 발명한 기술적 수준이라고 보기 어렵고, 나아가 AI를 발명자로 인정하는 것이 관련 산업의 발전 및 진흥에 기여할 것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보아, 원고패소 판결했습니다. 이어진 항소심에서도 서울고등법원 행정7부는 1심 판결을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해당 사건은 한국을 포함하여 여러 국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출원이 거절되고, 그에 따른 취소소송 역시 모두 기각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판결의 주요 내용>
  • 특허법 제2조 제1호는 ‘발명이라 함은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서 고도한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기술’ 자체가 아닌 ‘기술적 사상’이란 결국 인간의 사유를 전제로 하는 것이고, ‘창작’ 역시 인간의 정신적 활동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또한 발명행위는 이른바 사실행위로써, 발명행위를 하게 되면 특허법상 발명자지위가 부여되고 특허권이 발명자에게 원시적으로 귀속되므로(특허법 제33 조 제1항, 소위 ‘발명자주의’), 발명자의 지위는 원칙적으로 권리능력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민법에서는 ‘사람은 생존한 동안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된다.’고 규정하여 원칙적으로 자연인에게만 권리능력이 부여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고(제3조), 다만 제한된 범위 내에서 법인에게도 권리능력을 부여하고 있는데(제34조)1), 인공지능은 법령상 자연인과 법인 모두에 포섭되지 않으므로, 현행 법령상으로 인공지능에게 권리능력을 인정할 수도 없다.

  • 인공지능을 발명자로 인정할 경우 향후 인간 지성의 위축을 초래하여 미래 인간의 혁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 연구 집약적인 산업 자체가 붕괴될 우려, 발명이나 그 결과물과 관련된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인공지능의 개발자인 인간이 책임을 회피함으로써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질 우려 등이 엄존하고, 소수 거대 기업 등이 강력한 인공지능을 독점하함으로써 특허법이 소수의 권익만을 보호하는 수단으로 전락할 위험성도 있는바, 인공지능을 발명자로 인정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기술 및 산업발전의 도모에 궁극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단정하기도 어렵다.

  • 발명자는 자연인이어야 한다는 것은 특허법상 현재까지 확립된 법리로서, 이와 같은 법리를 그대로 유지할지 또는 기술의 변화에 따라 일부 변경할 것일지는 향후 기술의 발전 및 그에 대한 사회적 논의에 따라 이루어질 일일뿐, 현재 특허법체계 내에서 피고가 이에 대한 대안 제시 없이 보정을 명하였다고 하여 이를 부당하다고 볼 수는 없다.

 

 

☞ 해당 판결은 첨부파일 참조

 첨부파일
서울고법_2023누52088_판결서.pdf
서울행정법원_2022구합89524_판결서.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