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의 논문과 판례         이 주의 언론법 논문

[5월 2주 논문] 황성욱 (2024). 학문적 표현으로 인한 명예훼손죄에서 사실적시 여부의 판단. <사법>, 67호, 705-762.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667
  • 황성욱 (2024). 학문적 표현으로 인한 명예훼손죄에서 사실적시 여부의 판단. <사법>, 67호, 705-762.

<논문  요지>

이 논문은 박유하 세종대 명예교수의 저서 <제국의 위안부> 관련 명예훼손죄 상고심 판결(대법원 2023. 10. 26. 선고 2017도18697 판결)에 대한 해설이다. 대상 판결에서는 박유하 교수가 집필한 책에 등장하는 표현들이 허위사실의 적시로서 조선인 일본군 위안부들의 명예를 훼손하였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다. 특히, 해당 책은 연구자 집필한 도서로서 연구결과의 발표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학문적 표현물로서 보호받을 여지가 있는지가 문제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대상 판결에서 쟁점이 되었던 사항, 즉 학문적 표현물로서 보호받을 여지가 있는지를 중심으로 학문의 자유의 개념 및 한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 명예훼손 사건에 있어 학문적 표현물에 대한 특별한 취급의 사례가 있는지에 관하여 외국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명예훼손죄의 대상이 되는 사실과 그렇지 않은 의견의 구분에 있어 역사적 사실의 특수성을 고려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역사적 사실이 갖고 있는 특성을 살펴보고, 사실과 의견의 구분에 관한 종래의 논의와 대법원 판례가 취해왔던 태도를 검토한 다음, 역사적 사실을 일반 명예훼손과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하자는 견해와 역사학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실적시의 범위를 좁게 보는 견해로 나누어 각 견해의 장단점을 검토하였다.



☞ 해당 논문은 여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