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의 논문과 판례         이 주의 언론법 논문

[8월 3주 논문] 서지훈 김도경 (2022). 웹툰 작가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사례 분석 연구. 단국대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제46권 제1호, 325-363.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372

■ 이 주의 소개 논문

 

• 서지훈 김도경 (2022). 웹툰 작가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사례 분석 연구. 단국대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제46권 제1호, 325-363. 

[국문초록]

 

국내 웹툰 산업은 2020년 연 매출액 1조 원을 처음 돌파하며 폭발적인 ‘웹툰 시장’의 성장세로 인해 웹툰의 저작권 기대수익률도 점점 높아지지만 실제로는 낮은 이익률을 보이고 있다. 그 이유로 여러 가지 문제를 들 수 있겠지만 수익률 저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웹툰의 무단 도용 불법 사이트’와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일부 영세한 웹툰 작가는 유료서비스를 통해서 부가적인 수입을 얻지 못한다면 평균 일주일 6일 근무 및 하루 10시간이 넘는 터무니없이 많이 요구되는 창작 활동의 작업시간 대비 최저임금도 받지 못하게 된다는 점에 있다. 이에 불법 유포 사이트가 유료서비스 웹툰을 불법적으로 제공하여 작가의 수입이 줄어들게 된다면, 작가는 생활고를 이기지 못하고 부업을 찾거나 웹툰 작가를 포기하기에 이를 수 있다. 그러므로 자신의 작품이 허락되지 않은 웹사이트에 불법적으로 업로드되는 것에 실효적인 구제 수단이 있어야 지속적인 창작이 가능할 수 있으며 지식재산 강국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우리나라의 문화산업 경쟁력과 함께 저작권 제도의 근간을 지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글에서는 갈수록 늘어가는 불법 공유 사이트로 인한 저작권 침해의 실효적 해결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웹툰 작가가 자신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불법 사이트를 상대로 취할 수 있는 법적 조치(일반적인 구제방안) 및 예방적 자구책과 함께 그 한계점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웹툰 시장’의 구조가 불법 사이트 운영자든, 이용자든 불법적인 행동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지 살펴보고 그에 대한 개선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결론으로서 경제적 측면에서 웹툰 시장의 변화와 필요성에 대한 제안과 함께 실효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해당 논문은  "여기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