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의 논문과 판례         이 주의 언론법 논문

[6월 2주 논문] 이봉범. 유신체제와 검열, 검열체제 재편성의 동력과 민간자율기구의 존재방식.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 제64집, 345-406.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78

■ 이 주의 소개 논문

 

• 이봉범 (2022). 유신체제와 검열, 검열체제 재편성의 동력과 민간자율기구의 존재방식.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 제64집, 345-406.

 

- 이 논문을 게재하신 이봉범 선생님은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이십니다. 이 논문은 버클리대학 한국학센터가 주최한 두 차례의 한국영화 워크숍에서 발표한 글을 수정보완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인문학자가 검열을 중심으로 우리 언론의 역사를 정치사적으로 풀어낸 글로서 회원님들과 공유합니다. 

 

[국문초록] 

 

이 논문은 박정희정권의 의사헤게모니 지배-프로파간다-검열체제의 동력학이란 구조적 역학의 관점에서 1970년대 검열체제의 확대 재편을 재구성하고, 사회통제의 하위양식으로서 검열의 위상과 그 기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70년대 박정희체제의 권위주의적 통치는 국가안보를 지배이데올로기로 한 국가비상사태-유신헌법-긴급조치의 법제도적 토대 위에서 구사되었는데, 사회·문화정책도 이러한 기조와 방향에 종속되어 입안·배치되었다. 검열 또한 프로파간다 및 문화통제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변화무쌍한 변동을 거친다. 지배/저항의 분극화 현상이 촉진되면서 검열전선의 경직화를 고조시켰다. 1970년대 검열의 심층과 정점에는 합법적 검열자 중앙정보부가 존재

목록